최성훈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성훈은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이자, 리그 오브 레전드(LoL)의 지도자이다. 워크래프트 III 선수로 데뷔하여, MBC게임 MWL WEF 2005 한국리그에서 첫 방송 경기를 치렀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슈퍼 토너먼트 우승을 시작으로, WCS 아메리카, WCS Circuit 등 다수의 개인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지도자로서 2022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우승,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22 준우승,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준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이머 - 장재호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장재호는 워크래프트 III에서 독창적인 전략과 뛰어난 실력으로 세계적인 선수로 활동하며 "제 5의 종족", "안드로장" 등의 별명을 얻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 후 해외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9년에는 ESL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이머 - 오창종
오창종은 대한민국의 前 프로게이머이자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코치 및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III,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 KT 롤스터 코치, 감독, LGD 게이밍,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의 감독을 역임했다. - Team SCV Life의 선수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 Team SCV Life의 선수 - 이호준 (프로게이머)
이호준은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 프라임 (e스포츠)의 선수 - 조지현
조지현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우승 1회, 준우승 1회를 기록했고, DreamHack Open, IEM, GSL 등 여러 국내외 대회에 참가했다. - 프라임 (e스포츠)의 선수 - 김기용 (프로게이머)
김기용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며, 2016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등에서 활동했다.
최성훈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최성훈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88년 7월 2일 (세) |
종족 | 워크래프트 III: 휴먼 스타크래프트 II: 테란 |
아이디 | Polt |
별명 | 서울대테란 샤느님(서울대 정문이 '샤'와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진 별명이다.) 단신테란 배운불곰 |
소속팀 | T1 (단장) |
2. 선수 경력
워크래프트 III 프로게이머로 먼저 활동했으나, 이 시기의 구체적인 활동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격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것은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한 이후이다. 스타크래프트 II 오픈 시즌 데뷔 당시 서울대학교 재학 중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엄친아', '서울대테란' 등의 별명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동시에 '취미로 게임하는 선수'라는 부정적인 시선도 존재했다.[1]
이러한 편견 속에서도 최성훈은 꾸준히 성적을 내며 실력을 입증했다. 특히 2011년 GSL 슈퍼토너먼트에서는 결승에 진출하여 당시 강력한 선수였던 문성원을 4: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자신을 향한 의구심을 완전히 불식시켰다.[1]
플레이 스타일 면에서는 큰 특징이 없으며, 테란 유닛 중 불곰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1] 롤모델로는 꾸준함과 배우려는 자세를 높이 평가하며 이윤열을 꼽았다.[1] GSL 해설진인 안준영, 채정원과는 대학교 선후배 관계이다.
선수 생활 동안 여러 팀을 거쳤는데, 2011년 9월 프라임을 나와 잠시 무소속으로 활동하다가[2] TSL에 입단했다.[3] 2012년 12월 22일에는 학업과 선수 생활 병행을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TSL과 결별했다. 이후 미국에서 활동하며 2013년 3월 CM Storm, 2014년 2월 iBUYPOWER와 개인 후원 계약을 체결했다. 2016년 3월 CM Storm과의 계약이 종료되었고, 같은 해 5월 5일 Team Envyus에 입단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변신하여 2020년 11월 13일 T1의 e스포츠 단장으로 선임되었다.
2. 1. 초기 (워크래프트 III)
중학교 시절 취미로 워크래프트 III를 시작했다. MBC게임에서 프라임리그가 사라지고 열린 WEF 2005 한국리그 챔피언 결정전에서 첫 방송 경기에 데뷔했다. 당시 최성훈의 워크래프트 III 종족은 휴먼이었다.프로즌 쓰론 이후 한국에는 박세룡과 김태인(SentimentaL) 외에는 이렇다 할 휴먼 프로게이머가 드문 상황이었다. MWL 오픈을 전후로 휴먼 종족 사이에서는 소위 '우주방어' 플레이가 유행했다. Lof 클랜의 클랜 마스터였던 김성연(Lof.Myth)이 이러한 플레이 스타일의 선두 주자였고, 다수의 아마추어 휴먼 고수를 보유했던 Lof 클랜은 많은 휴먼 선수들을 MWL 예선에 통과시켰다. 이때 진출한 Lof 클랜 소속 휴먼 선수는 김성연(Lof.Myth), 김재웅(Lof.Strom), 그리고 최성훈(Lof.Polt) 세 명이었다. 김성연은 MWL 시즌 1 개막전에서 우주방어 플레이로 장재호를 상대로 승리하기도 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도 최성훈은 수비적인 플레이보다는 매우 공격적이고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스타일을 보였다. 특히 기동성은 떨어지지만 강력한 파괴력을 지닌 영웅인 마운틴 킹을 첫 영웅으로 선택하고 빠르게 멀티를 가져가며 공중 유닛을 조합하는 이른바 '선마운틴킹 패스트멀티 스카이(MFS)' 전략을 주로 사용했다. MWL 시즌 1 조별리그에서도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며 타워 건설을 최소화했지만,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MWL 시즌 2 시드권을 부여받았지만, 당시 수능을 앞둔 고등학교 3학년이었기 때문에 학업을 위해 시드권을 포기했다.[1] 이후 2007년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에 입학했으며, 2008년에는 서울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로 전공을 정했다.[4]
2. 2. 스타크래프트 II
워크래프트 3 프로게이머로 먼저 데뷔했으나, 본격적으로 이름이 알려진 것은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한 이후이다. 서울대학교 재학 중이던 대학 4학년 때 재미 삼아 출전한 첫 예선 결승에서 김동주를 꺾고 본선에 진출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1] 김성연의 주선으로 프라임 클랜에 가입했고, 이후 박외식 감독의 요청으로 정식 입단했다.[1]뛰어난 학력 때문에 '엄친아', '서울대테란'이라는 별명이 붙었지만, 동시에 '취미로 게임하는 선수'라는 부정적인 시선도 받았다.[1] 스타크래프트 II 오픈 시즌 3에서는 32강에서 임요환을 꺾는 이변을 일으켰으나, 16강에서 조나단 월시에게 패배하며 큰 인상을 남기지는 못했다. 정규 리그에서는 포인트를 쌓아 코드 S에 진출했지만, 여러 차례 승강전을 거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당시 이주영 해설은 최성훈이 위기 상황에서 유독 강한 면모를 보인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2011년 GSL 슈퍼토너먼트에서 이러한 평가를 뒤집었다. 당시 크리스 로란줴, 곽한얼, 양준식, 김정훈 등 강자들을 연달아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며, 결승전에서는 문성원을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4:0 완승을 거두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으로 최성훈은 단숨에 스타 플레이어로 발돋움하며 자신을 향한 의구심을 실력으로 증명했다.[1]
플레이 스타일 면에서는 특별히 두드러지는 특징은 없으나, 테란 유닛 중 불곰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1] 자신의 롤모델로는 꾸준함과 배우려는 자세를 높이 사며 이윤열을 꼽았다.[1] GSL 해설진인 안준영, 채정원과는 대학교 선후배 사이이다.
2011년 9월, 프라임을 나와 잠시 무소속으로 활동하다가[2] TSL에 입단했다.[3] 2012년 12월 22일에는 학업과 선수 생활 병행을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TSL과 결별했다. 이후 미국에서 활동하며 2013년 3월 CM Storm, 2014년 2월 iBUYPOWER와 개인 후원 계약을 체결했다. 2016년 3월 CM Storm과의 계약이 종료되었고, 같은 해 5월 5일 Team Envyus에 입단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변신하여 2020년 11월 13일 T1의 e스포츠 단장으로 선임되었다.
3. 지도자 경력
2020년 11월 13일 T1의 단장으로 선임되었다.
4. 주요 성적
스타크래프트 II 선수 시절,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우승 8회, 준우승 5회'''를 기록했다.[5] 특히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에서는 결승전에서 문성원을 상대로 4: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1] 상세한 대회 성적은 하위 문단을 참조한다.
4. 1. 선수
스타크래프트 II :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8회, 준우승 5회'''[5]연도 | 대회명 | 성적 |
---|---|---|
2010년 | TG삼보-인텔 스타크래프트 2 OPEN Season 1 | 32강 |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2 OPEN Season 2 | 64강 | |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2 OPEN Season 3 | 16강 | |
2011년 | 소니 에릭슨 GSL Jan. Code S | 32강 |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Code S | 32강 | |
LG 시네마 3D GSL May Code S | 16강 | |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 우승 (vs 문성원 4:0) | |
소니 에릭슨 GSL July Code S | 16강 | |
소니 에릭슨 GSL Aug. Code S | 4강 | |
소니 에릭슨 GSL Oct. Code S | 32강 | |
WCG 2011 한국대표선발전 16강 | 16강 | |
소니 에릭슨 GSL Nov. Code S | 32강 | |
2012년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블리자드 컵 Blizzard Cup | 6강 |
ASUS ROG Winter 2012 | 우승 (vs Stephano 4:1)[6] | |
DreamHack Open: Stockholm | 준우승 | |
IPL 4 | 8강 | |
IPL Tournament of Champions | 8강 | |
MLG 2012 Spring Season Championship | 7위 | |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 48강 | |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S | 32강 | |
무슈제이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Code A | 12강 | |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4 Code S | 16강 | |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5 Code S | 16강 | |
IPL5 스타크래프트2 부문 | 3위 | |
2013년 | MLG 2012 Fall Season Championship | 12강 |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1 챌린저리그 | 8강 | |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 16강 | |
MLG 2013 Spring Season Championship | 우승 | |
IEM Season VIII - Shanghai | 8강 | |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리그 | 우승 (vs 4:0 이제동) (2013 WCS 시즌 2 파이널 진출) | |
2013 WCS 시즌 2 파이널 | 16강 | |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3 프리미어리그 | 우승 (vs 4:1 한지원) (2013 WCS 시즌 3 파이널 진출) | |
2013 WCS 시즌 3 파이널 | 16강 | |
2014년 | 2013 WCS 글로벌 파이널 | 8강 |
2013 DreamHack Open: Winter | 8강 | |
IEM Season VIII - Sao Paulo | 8강 | |
IEM Season VIII - Cologne | 준우승 | |
IEM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 | 4강 | |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1 프리미어리그 | 8강 | |
Lone Star Clash 3 | 준우승 | |
2014 MLG Anaheim | 준우승 | |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리그 | 8강 | |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Atlanta | 준우승 | |
Destiny I | 8강 | |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Global | 6위 | |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Detroit | 우승 (vs 3:0 윤영서) | |
IEM Season IX - Toronto | 16강 | |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Washington | 3위 | |
2014 DreamHack Open: Stockholm | 16강 | |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3 프리미어리그 | 4강 | |
2014 WCS 글로벌 파이널 | 16강 | |
2015년 | PughCraft Invitational #2 | 32강 |
2014 DreamHack Open: Winter | 6강 | |
IEM Season IX - San Jose | 16강 | |
IEM Season IX - Taipei | 16강 | |
2015 WCS 시즌 1 프리미어리그 | 우승 (vs 4:3 신동원) | |
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 | 4강 | |
MSI Masters Gaming Arena 2015 | 16강 | |
2016년 | 2015 WCS 시즌 3 프리미어리그 | 8강 |
2015 WCS 글로벌 파이널 | 16강 | |
IEM Season X - Taipei | 8강 | |
2016 WCS Circuit: Winter Circuit Championship | 우승 (vs 4:2 Snute) | |
Ting Open | 16강 | |
2016 DreamHack Open: Austin | 16강 | |
2016 WCS Circuit: Spring Circuit Championship | 4강 | |
2016년 | 2016 WCS Circuit: Summer Circuit Championship | 준우승 |
2016 Kung Fu Cup Season 2 | 16강 |
4. 2. 지도자
5. 기타
스타크래프트 II 오픈 시즌 데뷔 당시 서울대학교 재학 중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엄친아', '서울대테란' 등의 별명으로 주목받았다. 한편으로는 '취미로 게임 하는 선수'라는 비판적인 시선도 있었으나, 꾸준한 성적을 내고 슈퍼토너먼트 결승에서 문성원을 4:0으로 꺾고 우승하며 이러한 평가를 불식시켰다.[1]
플레이 스타일에 뚜렷한 특징은 없으나, 불곰 유닛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
롤모델로는 프로게이머 이윤열을 꼽으며, 그의 꾸준함과 배우려는 자세를 높이 평가했다.[1]
GSL 해설진인 안준영, 채정원과는 대학교 선후배 관계이다.
키가 작은 편이지만, 자신감 있는 태도로 이를 극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아래는 최성훈의 주요 경력 및 계약 변경 사항이다.
날짜 | 내용 |
---|---|
2011년 9월 | 프라임 탈퇴, 무소속 활동[2] |
2011년 9월 이후 | TSL 입단[3] |
2012년 12월 22일 | 학업 및 선수 생활 병행 위해 TSL과 결별 |
2013년 3월 | CM Storm과 개인 후원 계약 체결 |
2014년 2월 | iBUYPOWER와 후원 계약 체결 |
2016년 3월 | CM Storm과 후원 계약 종료 |
2016년 5월 5일 | Team Envyus 입단 |
2020년 11월 13일 | T1 단장 선임 |
참조
[1]
뉴스
"[ThisPeoPle]최성훈, 나는 ‘프로게이머’다"
http://www.thisisgam[...]
디스이즈게임
2011-07-11
[2]
뉴스
옵티머스 프라임 최성훈 , 이제 무소속
http://www.playxp.co[...]
Playxp
[3]
뉴스
옵티머스 최성훈 , TSL 폴트로 컴백
https://web.archive.[...]
Playxp
[4]
뉴스
스타크래프트2의 전장을 누비는 ‘서울대 테란’
http://www.snu.ac.kr[...]
서울대학교 홍보팀
2010-10-17
[5]
기타
[6]
기타
결승전 VOD보기
http://ko.twitch.t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